728x90
반응형
참고 교재 : Joyce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- 홍정아
1) 프로젝트 생성 및 프로젝트 구조_23.01.12
- [File] → [New] → [New Project…] → [Empty Activity] 를 통해 프로젝트 생성
- 프로젝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창
- 코드가 입력되는 편집창
- 앱에 관련된 로그, 에러 등을 확인하는 창
- [manifests] : 앱과 관련된 설정을 관리하는 폴더
- [java] : 앱의 작동과 관련된 파일이 있는 폴더
- [res] : 이미지, 레이아웃 등의 파일들을 모아둔 폴더
- [Gradle Scripts] :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apk 파일로 패키징을 하는 폴더
- [package] : MainActivity.kt 파일이 속한 패키지
- [import] :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추가하는 구문
- [MainActivity : AppCompatActivity] : 클래스(MainActivity)가 AppCompatActivity 상속, Activity 상속
- [onCreate] : 맨 처음 호출되는 콜백 함수, 초기화 코드가 들어감
- [super] : 상위 클래스로 onCreate()를 먼저 실행하라는 의미
- [setContentView] : ()안에 있는 레이아웃을 지정, 실행 시 보여지는 화면이라고 생각하면 편함
- Activity_main.xml을 통해 화면을 수정할 수 있다.
- 초록색의 삼각형을 누르면 오른쪽의 스마트폰 화면의 AVD가 실행됨
- AVD(Android Virtual Device)는 가상의 스마트폰 역할을 하게 된다.
※ 본 게시글은 'Joyce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- 홍정아' 책의 내용과 Android Developers의 공식문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안드로이드(Androi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면 구성하기_ 뷰(위젯) (0) | 2023.02.01 |
---|---|
Fragment(프래그먼트) 이론 및 실습_안드로이드 (0) | 2023.01.31 |
액티비티 간의 환면 전환 _ Intent(인텐트) (0) | 2023.01.30 |
Activity의 생명 주기_Android (0) | 2023.01.29 |
안드로이드 4대 구성요소 및 Activity (0) | 2023.01.27 |